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2℃
  • 구름조금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6.2℃
  • 구름많음대전 4.8℃
  • 구름많음대구 3.2℃
  • 맑음울산 6.1℃
  • 구름많음광주 6.6℃
  • 맑음부산 11.2℃
  • 구름조금고창 3.5℃
  • 맑음제주 11.4℃
  • 맑음고산 14.1℃
  • 구름조금성산 11.5℃
  • 맑음서귀포 13.3℃
  • 구름많음강화 5.6℃
  • 흐림보은 1.2℃
  • 구름많음금산 1.8℃
  • 구름많음강진군 4.2℃
  • 맑음경주시 2.2℃
  • 구름많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암호화폐

라그랑주, 다중체인 유동성 균형을 목표로 한 알고리즘 코인

라그랑주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유동성이 고르게 흐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발했다. 특정 체인에는 자금이 몰리고, 다른 체인에는 거래량이 부족해지는 구조적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 수학적 균형 이론인 라그랑주 함수를 응용한 프로토콜을 설계한 것이 핵심이다. 개발팀은 시장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유동성을 조정하고, 네트워크 간 이동 비용을 줄이는 새로운 방식의 알고리즘을 만들고자 했다.

 

총발행량
라그랑주의 티커는 LA이고, 총발행량은 5억 LA로 고정되어 있으며 추가 발행은 없다. 개별 지분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개발팀 물량은 최소화되었고, 생태계 확장과 유동성 공급에 많은 비중이 배분되었다. 주요 파트너십을 위한 리저브는 장기 잠금 형태로 관리된다.

 

연구팀
라그랑주의 연구팀은 알고리즘 설계와 멀티체인 구조를 전문으로 다뤄온 개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인물 중 첫 번째는 수리 알고리즘 기반 유동성 설계를 주로 연구해온 박정우 박사다. 그는 금융공학 알고리즘을 디파이에 적용하는 데 강점을 지니며, 라그랑주 유동성 조정 모듈의 핵심 로직을 설계했다.
두 번째 핵심 인물은 크로스체인 브릿지 개발을 경험한 이가은 엔지니어다. 그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구조를 전문으로 연구해왔으며 라그랑주의 다중체인 연결 아키텍처 구현을 맡았다.

 

특징
라그랑주는 시장 상황에 따라 체인 간 유동성을 자동으로 분배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특정 체인에 거래가 몰리면 유동성을 자동 이동시키고, 거래가 적은 체인에는 인센티브를 강화해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디파이 시장의 체인 간 격차를 줄이고 안정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하나의 특징은 수학적 함수 기반의 위험 관리 모델이다. 이는 단순히 가격 변동을 추적하는 수준이 아니라 변동성, 거래 밀도, 유동성 공급자 손실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 라그랑주 함수에 기반한 최적점을 계산하는 구조다.
여기에 멀티체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량 브릿지 모듈도 포함되어 있어, LA 생태계 내 디앱은 추가 비용 없이 다양한 체인의 유동성과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면책사항
이 글은 암호화폐를 추천하거나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시장의 규제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의 특성상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 특히, 해외에서 먼저 상장된 신규 상장 코인은 매우 주의해야 한다.